a single channel video projection*2, diasec photograph:1000x800(mm)*2, photography by SES, sound Underwater Sound by franciscotomas.o.p, 2017
squared in two different worlds
whether we are perfect letters
or perfect symbol of circles
We cannot reach each other
We cannot read each other
We all live as imperfect beings, and the fact of mortality shakes us. We long for the perfect world beyond reality. The words we speak are imperfect as well. We dream that the meanings within the words could get through completely. 'x' and 'y' go through slow deconstruction and turn into spheres of the same volumes. Although they transform into the perfect symbol of circles, they are more cryptic and more incomprehensible. TypeX tries to depict the vulnerability of language and crippled linguistic communication. It takes over the concept of ritualic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and endless cycle of samsara of Circling Type.
X 축에 있는 나와 Y축의 그대는 어느 때인가 0에서 만났었지만 이제는 영영 서로를 들을 수 없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나와 다른 염색체를 가진 그대 y는 이상의 푸른 바다에 산다. 내가 될 수 없는 비늘을 가지고 내가 갈 수 없는 곳에 사는 환상의 그대 y. 우리는 불완전함의 불안 속에서 살아간다. 그리고 그 불안 너머의 완전한 세계를 꿈꾼다. 나-x는 너-y의 공간에 들어가 말 하고자 하지만 전혀 다른 축위에 사는 둘의 말은 들리지 않는다. 우리가 내뱉는 말은 불완전하게 흔들리고 언제나 그 말 속의 마음이 조금 더 온전히 전해지기를 바란다. 엑스와 와이는 천천히 해체되어 그와 꼭같은 부피를 가진 구체로 변화한다. 완전함을 상징하는 원이 되었지만 읽을 수 없는 말들은 더욱 비밀스러운 암호가 되고 x와 y사이의 그리고 나아가 관객과의 언어적 소통을 좌절시킨다. TypeX는 문자와 관계의 불완전성을 원의 상징을 통해 극대화하여 표현한다. 이는 죽음 즉, 파괴의 과정을 거쳐 마침내 원의 형상으로 대변되는 완전함에 다다르는 Circling Type*의 해체, 순환과 재탄생의 개념을 계승한다.
a single channel video projection*2, diasec photograph:1000x800(mm)*2, photography by SES, sound Underwater Sound by franciscotomas.o.p, 2017
squared in two different worlds
whether we are perfect letters
or perfect symbol of circles
We cannot reach each other
We cannot read each other
We all live as imperfect beings, and the fact of mortality shakes us. We long for the perfect world beyond reality. The words we speak are imperfect as well. We dream that the meanings within the words could get through completely. 'x' and 'y' go through slow deconstruction and turn into spheres of the same volumes. Although they transform into the perfect symbol of circles, they are more cryptic and more incomprehensible. TypeX tries to depict the vulnerability of language and crippled linguistic communication. It takes over the concept of ritualic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and endless cycle of samsara of Circling Type.
X 축에 있는 나와 Y축의 그대는 어느 때인가 0에서 만났었지만 이제는 영영 서로를 들을 수 없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나와 다른 염색체를 가진 그대 y는 이상의 푸른 바다에 산다. 내가 될 수 없는 비늘을 가지고 내가 갈 수 없는 곳에 사는 환상의 그대 y. 우리는 불완전함의 불안 속에서 살아간다. 그리고 그 불안 너머의 완전한 세계를 꿈꾼다. 나-x는 너-y의 공간에 들어가 말 하고자 하지만 전혀 다른 축위에 사는 둘의 말은 들리지 않는다. 우리가 내뱉는 말은 불완전하게 흔들리고 언제나 그 말 속의 마음이 조금 더 온전히 전해지기를 바란다. 엑스와 와이는 천천히 해체되어 그와 꼭같은 부피를 가진 구체로 변화한다. 완전함을 상징하는 원이 되었지만 읽을 수 없는 말들은 더욱 비밀스러운 암호가 되고 x와 y사이의 그리고 나아가 관객과의 언어적 소통을 좌절시킨다. TypeX는 문자와 관계의 불완전성을 원의 상징을 통해 극대화하여 표현한다. 이는 죽음 즉, 파괴의 과정을 거쳐 마침내 원의 형상으로 대변되는 완전함에 다다르는 Circling Type*의 해체, 순환과 재탄생의 개념을 계승한다.